본문 바로가기
주식 공부

OEM, ODM, CMO 차이

by GISEN 2021. 2. 4.

최근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뉴스가 나올 때 글로벌 제약사들이 원활한 생산을 위해 국내 제약업체에 백신 생산 대행을 요청한다라는 얘기를 하면서 CMO라는 얘기라는 얘기를 들었는데 CMO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더불어 OEM, ODM은 무엇인지와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EM이란?

 

OEM은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의 약자로 '주문자상표부착생산'이라는 뜻입니다. 생산을 요청한 업체에서 OEM업체에 어떠한 제품을 만들어달라고 요청을 하면 OEM 업체는 요청한 업체가 요구하는대로 만들어서 제품을 납품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 물건을 요청한 업체에서 판매를 하게 됩니다.

 

국내 기업 중 '화승엔터프라이즈'가 있는데 이 업체는 아디다스가 새롭게 디자인한 운동화를 만들어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납품된 운동화는 아디다스 매장에서 판매, 유통됩니다. OEM은 생산만 대신하는 업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나이키 런닝화도 '태광실업'에서 20%가량 생산한다고 합니다.

 

해외 기업 중에 가장 유명한 OEM업체는 대만의 '폭스콘'이 있습니다. 이 업체는 '애플'에서 아이폰 설계를 해서 주면 아이폰을 만들어서 다시 납품을 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업체들이 OEM을 맡기는 이유는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높은 인건비로 인한 가격경쟁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인건비가 저렴한 개발도상국의 업체에 설계도를 주어 제품 생산을 의뢰하는 것입니다.

 

ODM이란?

 

ODM은 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의 약자로 '제조자개발생산'이라는 뜻입니다. OEM과 비슷하지만 자세히 보면 다릅니다. OEM은 생산을 요청한 업체가 요구하는 대로 똑같이 만들어 주는 단순 하청업체입니다. 하지만 ODM은 주무자의 요구에 따라 ODM 업체가 주도적으로 제품을 만드는 방식으로 생산을 요청한 업체가 주는 설계도면대로 만들어서 납품만 하는 OEM과 다르게 ODM은 ODM 업체가 자체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기 때문에 이익률이 높습니다. ODM은 OEM보다 수준이 높은 위탁생산업체라고 보시면 됩니다.

 

국내 기업 중 '코스맥스'가 있는데 이 업체는 로레알, 랑콤, 입생로랑,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이 주요 고객사로 둔 국내 및 글로벌 화장품 ODM 업체입니다. 유명한 화장품 회사들이 이 업체에 제품의 개발, 생산을 맡기면 디자인과 성능이 우수한 화장품을 만들어냅니다. 최근에는 중국 회사들의 주문이 증가하면서 매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삼성전자에서는 갤럭시 핏2를 중국 업체에 ODM을 줘서 중국 업체에서 기술개발과 제품의 생산까지 모두 처리하고 삼성이라는 로고만 붙여 판매하였습니다.

 

글로벌 업체들이 ODM을 맡기는 이유는 생산기술은 있으나 유통이나 마케팅 면에서 기존 시장 진입장벽이 높기 때문입니다.

 

CMO란?

 

최근 코로나 19 백신으로 인하여 가장 뜨거운 기업이 GC녹십자,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와 같은 제약업종 OEM업체입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빅파마(대형 제약사)들은 신약을 개발해서 직접 생산하지 않고 대신 생산을 맡기는데 이 생산을 맡은 OEM제약사는 CMO라고 합니다.

 

CMO는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의 약자로 '계약 제조업체'라는 뜻입니다. CMO는 약을 제자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조업체와 다르게 고객사의 요구조건이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약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대규모 공장이 필요하고 품질도 우수해야 해서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입니다. 그래서 몇 개의 회사만이 이를 수행할 수 있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에스티팜, 바이넥스 등이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코로나19 백신이나 치료제로 인하여 CMO 업체의 위상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중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송도에 공장 증설을 해서 세계 1 기업인 스위스 제약사인 론자를 제치고 생산량 기준으로 세계 1위 기업이 되었습니다.

 

마무리

 

대한민국은 제조 강국으로 글로벌 1위 제조업체인 삼성전자와 그 밑에 경쟁력 있는 다양한 제조업체들이 있습니다. 수십 년간의 경험이 축적된 제조업 노하우는 대한민국이 OEM, ODM, CMO 등의 위탁생산에서도 글로벌 1위가 될 수 있었던 이유입니다.


OEM : 주문자가 요구한 그대로 생산해주는 방식

ODM : 주문자가 위탁하면 제품의 개발부터 생산까지 맡아서 해주는 방식

CMO : 신약개발업체로부터 위탁받아 약을 대신 생산해주는 방식

이상 OEM, ODM, CMO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핏지수(Buffett indicator) 알아보기  (0) 2021.02.05
파킹통장의 모든것  (0) 2021.02.05
ETF의 모든것  (0) 2021.02.04
우선주 보통주 차이 비교  (0) 2021.02.03
IPO뜻과 공모주 청약방법 총정리  (0) 2021.02.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