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적금을 가입하려고 은행 사이트를 보다 보면 저금리 시대인 것을 실감할 수가 있습니다. 시중은행의 예금금리가 대부분 0%대로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내 돈으로 잠깐이라도 어디에 두는 것이 좋을 것인가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요즘 저축은행들이 내놓은 파킹통장이라는 게 의외로 금리도 높고 유용하다고 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킹 통장 파킹?? 주차?? 한번 알아 보록 하겠습니다.

파킹통장이란?
'파킹통장'이란 주차하듯이 돈을 은행에 잠시 맡겨 준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파킹통장이라고 하는 것은 정식적인 상품 이름은 아니고 그런 성격을 가진 통장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자유입출금통장이긴 한데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주는 형식이고, 일반통장보다는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사회초년생 때 재테크 공부를 하면서 배운 것 중 하나가 일반통장보다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주는 증권사의 CMA나 은행의 MMF, MMDA를 가입하라고 했었는데 이거랑 비슷해 보이는데 CMA는 투자상품이고 파킹통장은 일반예금이라는 다릅니다. 그래서 CMA는 예금자 보호가 좀 안되는데 파킹통장은 최대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되고, 무엇보다도 금리가 높습니다. CMA 통장의 금리가 요즘 0.3%, 0.4%대이고, 우대조건이 되면 최고 1%때까지주는데 파킹통장은 CMA보다 더 높은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통장과 같이 체크카드 발급, 모바일뱅킹도 가능하고 비대면으로 개설도 가하다고 합니다.
파킹통장은 금리가 최고 1% 중반대를 주고 있습니다. 우대조건을 충족시키면 1.7%까지 주는 곳도 있습니다. 금융권도 파킹통장이 있긴 한데 CMA통장보다 약간 더 주는 0.6%~0.9%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저축은행 같은 제2금융권에서 1%대 중반대 이자를 주고 있습니다. 자유입출금통장이라서 매일매일 통장의 잔액을 기준으로 이자를 계산 하고, 이자지급은 매달 한번 정해지 날짜에 지급한다고 합니다.
높은 금리에 정기 적금이나 예금처럼 기다릴 필요가 없어서 요즘 사회초년생도 많이 이용하고 주식 투자하기 전에 돈을 잠깐 모아두는 분들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보통 은행의 정기예금보다 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의 이자가 높고 언제든지 찾을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물론 거액이면 저축은행이 망하거나하면 위험할 수 있지만 5,000만원 이하라면 예금자보호가 되기 때문에 보통은행의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을 할게 아니라 저축은행의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실제로 요즘 많은 분들이 이용을 해서 서울 주요 저축은행들의 파킹통장 잔액이 1년 사이에 2조원이 늘었다고 합니다.
저축은행들이 이렇게 이자를 높게 주는 이유는 일단 예금을 유치해서 저축은행에서 이 자금을 운용할려는데 있고, 파킹통장 자체가 그냥 일발 예금이라 운용비용이 예금이나 적금보다 훨씬 저렴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어쨌든 모바일뱅킹 시대에 고객을 좀 더 유치하려는 저축은행의 미끼 상품의 의미가 큽니다.
통장 개설은 비대면거래이기 때문에 지점 방문 없이 애플리케이션만 다운로드하시면 개좌 개설을 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제일 높은 곳을 알려주는 사이트가 있으면 좋지만 찾으시려면 손품 발품을 좀 팔으셔야 합니다. 은행 사이트의 상품 메뉴에 보시면 예금이긴 한데 금리가 높고 이자를 매월 정해진 날짜에 준다고 하면 그 상품이 바로 파킹통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좀 더 쉬운 방법은 포털 검색창에 '파킹통장'이라고 치시면 요즘 가장 금리를 많이 주는 TOP3 상품 몇가지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 해당 은행 사이트의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파킹통장 가입 시 주의사항
첫째, 은행마다 다른데 어떤 은행은 정해진 금액 예를 들어 1,000만 원 이상을 넣어야 그 금리를 쳐주고, 어떤 은행은 은행카드 실적이 있어야하고, 어떤은행은 급여이체실적이 있어야 하는 등의 조건을 충족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0.1%대 금리를 주는 곳도 있으니 가입 전에 확인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하지만 아무 조건 없이 1.5%대 금리를 주는 곳도 한 두 군데 있으시 잘 찾아보시길 바라겠습니다.
둘째, 자유입출금식 통장이기 때문에 이체수수료, 입출금 수수료를 받는 곳이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체수수료, 입출금 수수료가 무료인 통장을 잘 찾으셔야 합니다.
수수료도 무료이고, 이자도 많이 주는 곳이 있다고 하니 잘 찾아서 가입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파킹통장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팩주란? 투자해도 되나? (0) | 2021.02.08 |
---|---|
버핏지수(Buffett indicator) 알아보기 (0) | 2021.02.05 |
OEM, ODM, CMO 차이 (0) | 2021.02.04 |
ETF의 모든것 (0) | 2021.02.04 |
우선주 보통주 차이 비교 (0) | 2021.02.03 |
댓글